아리스토텔레스는 훗날 그리스 왕국,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되는 13살의 어린 왕자의 스승이었습니다.
행복:
아리스토텔레스는 윤리적인 삶이란 이성적인 삶을 사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것은 만족(유다이모니아=행복)이라는 최종의 목표 주위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유다이모니아는 일생의 노력으로 얻은 결과나 결실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기대하는 것, 은퇴하는 것, 우리가 원하는 것을 하는것도 아닙니다. 그것은 즐겁고 안정된 성숙한 삶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기능에 대해서 유다이모니아를 없앨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사물의 우수함은 기능의 문제입니다. 예로 들면 플룻연주의 우수함은 연주를 잘하는가 문제입니다. 즉, 무언가를 잘하게 되면 미덕과 휼륭함이 뒤따를 것입니다. 인간의 우수함은 건강과 아름다움 등처럼 신체가 아니라 마음에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인간의 우수함은 돈이나 권력 또는 지위 같은 외부적인 적인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자원없이 우리는 어떤 좋은 행위도 할 수 없기 때문에 행복에는 외적인 것도 필요합니다. 요약하면, 미덕과 함께 삶을 살아가고 좋은 일을 하다보면 행복이 우리에게 찾아올 것입니다.
인덕:
미덕은 힘이고, 무언가를 뛰어넘을 수 있는 능력입니다. 미덕은 습관화에 의해 얻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옳은 일을 할때 조건인 문제입니다.
인덕은 행동과 감정과 관련되어 있어 과잉과 부족은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우리는 옳바른 일에 대하여 올바른 타이밍에, 바른 사람, 옳바른 방법으로 대답할 수 있도록 감정을 다스러야합니다. 인덕의 중간에 위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두려워하지 않는 것과 두려운 것은 둘다 좋은 것이 아니고, 중간이 가장 적절합니다.
원인: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원인에는 4종류가 있습니다.
1)질료인, (예:동상의 재료인 동)
2)형상인, 형태, 어떤것이 무언가가 되기 위한 조건 (예: 동상의 형태)
3)운동인, 변화의 주요 원인. (예:장인의 의한 동상의 효율적인 변화)
4)목적인, 최종적인 목표, 작업의 종료. 이 경우, 동상의 최종적인 목적 원인은 장인 자신의 기쁨입니다.
최종적 원인과 자연에서의 이용: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은 무언가를 설명할 떄 그 의미를 줄여 설명하였습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삶은 자원이나 재료등으로 설명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용도와 의미를 같이 조합시켜 설명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벽의 최종 목적은 보호(형태)를 위한 것이면, 벽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돌과 나무(재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돌과 나무 없이는 벽을 만들수 없고 안전과 보호도 지킬 수 없게 됩니다. 이것은 많은 경우에도 적용됩니다.